코드 없이 자동화: 반복 작업을 AI로 리디자인

자동화의 핵심은 도구가 아니라 흐름이다. 반복 작업을 ‘트리거→입력→규칙→출력’으로 분해하면, 코드 없이도 자동화를 설계할 수 있다. AI는 규칙의 빈칸을 채우고 예외를 줄이는 조수다.

요소 정의 체크 질문 예시
트리거 시작 조건 언제 시작되나? 폼 제출, 파일 도착
입력 필요 데이터 어디서 오나? 이메일, 스프레드시트
규칙 처리 로직 에지케이스는? 카테고리 분류
출력 최종 산출 누가 쓰나? 보고서, 알림

설계 절차

  • 흐름도 그리기(최대 7노드)
  • 샘플 5개로 규칙 시험
  • 예외 목록화·수동 처리 기준 설정
  • 로그·실패 알림·롤백 시나리오 추가

무코드 자동화의 리스크는 ‘침묵 실패’다. 실패가 조용히 지나가면 신뢰가 무너진다. 따라서 로그·알림·샘플 테스트를 시스템에 내장해야 한다. 자동화가 성과를 만드는 것이 아니라, 사람이 더 중요한 문제에 집중할 시간을 되찾게 만든다.

자주 묻는 질문

무코드 도구만으로 충분한가요?

초기엔 충분하다. 복잡성이 올라가면 API 연동을 검토한다.

자동화 오류가 무서워요.

샘플 테스트·승인 단계·롤백을 의무화하라.

데이터 정제가 어렵습니다.

입력 단계에서 포맷을 통일한다. AI는 예외만 다룬다.

사람의 검토는 언제 하나요?

고위험 출력(외부 발송)은 승인 단계를 거친다.

비용이 걱정돼요.

시간 대비 절감액을 추적해 ROI를 측정한다.

보안 이슈는?

민감정보는 가명화하고, 저장 금지 정책을 적용한다.

유지보수는 누가 하나요?

플로우 오너를 지정하고 변경 로그를 남긴다.